3월, 2024의 게시물 표시

1. 표면 근전도 정의 (1)

이미지
  1.   표면 근전도 (sEMG)정의 사람의 신체 및 동물에서는 살아 움직임시 필수적으로 여러 전기적 생체 신호가 발생되고 있는데 심장운동으로 혈액이몸 전체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심전도 (electrocardiogram, ECG) 라고 하며,  뇌 의 움직임 그리고 뇌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신호인 뇌전도, 뇌파 (electroencephalogram, EEG) 라고 한다.  그리고 신체의 움직임 동작시 근육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근전도 (electromyogram, EMG) 한다. 그 외 혈류의 이동시발생되는 (HRV) 및 외 신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전기적 신호와 전기적 변화가 신체가 살아 움직일때  다양한 생체 신호 전기 신호가 발생한다 .  이처럼 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여러 전기적인 생체 신호 (Bio-Signal) 은  신체 활동에 대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살아 숨쉬고 움직이는 동안 위와 같은 다양한 전기적 생체 신호의 변화가 발생되고 있다 . 생체 신호 중에서 사람또는 동물의 움직임과 자세 그리고 운동 등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신체 활동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 근육으로서 의료 , 물리치료 , 스포츠 운동, 인간공학적  자세평가 , 등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 스포츠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운동치료 분야 에서는 근육의 움직임 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반드시 필요로 하다..  이 처럼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 할 수 있는 것은 근육의 표면에 전기적 신호가 흐르기 때문에  근육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는 전기적 신호를 근전도(EMG) 신호 라고 한다.  표면 근전도 (sEMG) 는 신체 표면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  측정 하는 방법을  표면 근전도 (sEMG)라 한다.  신체의 움직임과 자세 동작을 주관하는 근육들 로서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고 감지 할 ...